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포뮬러 1
(r4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금요일 - 프랙티스(FP1/FP2) === ||<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ordercolor=#f00,#f00><nopad> [[파일:2025 호주 그랑프리 FP3 도중.jpg|width=100%]] || ||<bgcolor=#f00><color=#fff> '''프랙티스(Free Practice)'''[* 2025 호주 그랑프리 FP3 中] || 금요일부터 공식 프랙티스가 실시된다. 프랙티스라는 말 때문에 중요도가 떨어져 보이지만 '''매우 중요하다.''' 어떤 의미에선 레이스보다 중요하다. 프랙티스에서 서킷의 노면과 기상에 따른 차량 데이터를 수집하기 때문에 프랙티스를 망치면 눈덩이 굴러가듯 퀄리파잉과 레이스를 망칠 가능성이 농후하다. 특히 프랙티스에서 비가 왔는데 퀄리파잉에서 햇빛이 쨍쨍하다면 대다수 팀들은 [[망했어요|말 그대로 돌아버린다.]] 퀄리파잉과 레이스도 비가 와서 같은 날씨라면 별로 상관이 없지만 만약 노면이 마른 상황이 되면 여기에 맞춘 데이터와 셋업이 없으므로 '''결국 누적 데이터가 많은 팀이 유리해진다.''' 여기서 팀이 얼마나 오랫동안 F1에 있었느냐에 따른 격차가 어마무시하게 벌어진다. 거기에 굵직한 규정 변경이 있었다면 프랙티스가 더욱 중요해지는데, 대표적인 사례로는 2009시즌에 도입된 [[KERS]][*참고 2010시즌에는 컨스트럭터간의 합의로 사용되지 않았다.]와 2014시즌에 신설된 1.6L V6 싱글터보 하이브리드 파워 유닛, 2022 시즌에 도입된 벤츄리 터널 기반 신형 에어로 규정 등이 있다. 이런 장비들도 각 서킷에서 노하우를 축적해야 하니 프랙티스를 소규모의 시험주행으로도 볼 수 있다. 프랙티스는 각 세션을 나눠 금요일에 FP1, FP2가 진행되고, 토요일에는 퀄리파잉 수 시간 전에 FP3가 진행된다.[* 과거에는 지금보다 팀이 1~2팀 더 많아서 차량이 22~24대 정도나 되어 FP4까지 진행한 적이 있었다. FP3와 FP4가 퀄리파잉 전에 텀을 두고 열리는 방식이었으며, 2005시즌 이후로는 FP3까지만 운영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세부적인 진행은 각 팀들마다 다르지만 보통 각 세션마다 진행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 FP1 금요일 60분 동안 진행. 각 팀은 서킷에 오기 전 분석하고 점검했던 사항과 정보를 정리하고 드라이버들이 직접 주행하면서 나온 데이터를 같이 비교한다. 이러면 거의 대다수는 '''맞지 않는다.'''[* 날씨, 트랙 상황, 노면 온도 등 변수가 매우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걸 수정하는 것이 프랙티스 세션이다. 그리고 퀄리파잉을 위한 숏런 시뮬레이션과 본선 레이스를 위한 롱런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레이스카 셋업의 기반을 다진다. 특히 새롭게 업데이트되는 파츠들을 테스트하기도 하고, 리저브 드라이버나 F1 데뷔를 앞두고 있는 영 드라이버들이 주행을 하기도 한다. 이때 드라이버들의 피드백도 굉장히 중요하다. 엔지니어들이 모든 걸 해줄 수 없기에 드라이버들이 주행한 느낌과 문제점을 알려줘서 레이스 카를 드라이버에게 철저히 맞추어야 한다. * FP2 금요일 60분 동안 진행한다. FP1에서 다듬은 셋업을 바탕으로 단단한 타이어와 부드러운 타이어를 모두 사용해 퀄리파잉과 본선 레이스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 FP2가 끝나면 셋업한 것을 서면으로 제출하고, 이후에는 지정된 것 이외에는 추가적인 셋업이 불가능해진다. FP2와 FP3에서 '''레이스 타이어 전략'''이 결정되므로 각 팀 전략 담당 엔지니어들은 촉각을 곤두세운다. 또한 만약 퀄리파잉이 연기되고 일요일 아침에도 일정상의 문제로 열리지 못했다면 FP2의 기록으로 그리드가 정해진다. 프랙티스에서 기록된 랩타임은 경기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목표로 한 랩타임이 나오지 않으면 이것저것 수정할 게 많아지므로 프랙티스 세션 전체에 주어지는 시간이 정말 부족하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